인터넷 핑테스트 [핑속도 확인]
Ping 또는 핑이라는 것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에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URL이나 IP를 지정하면 대상에게 echo를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대의 echo 응답을 기다리는 형태로 동작합니다.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서 데이터가 중간에 사라지는 경우도 있기에 여러번 핑을 날려서 그 응답을 수집하여 평균결과를 보여주는 형태를 보입니다.
오늘은 인터넷 핑테스트 또는 핑속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cmd를 활용한 명령어로 알아보는 방법이 있지만 저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찾아보았습니다. NIA라는 사이트를 활용해보았는데요, 홈페이지 주소를 통하여 접속하면 메인화면에서 [인터넷속도] 항목을 선택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처음 접속하시는 분이라면 측정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은 있더군요. 정보수집 약관도 잘 읽어보시고 동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지정해야 할 조건은 총 세가지가 있는데요 인터넷 회사와 상품 그리고 지역입니다. 각 항목을 반드시 선택해주시고 [측정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측정이 모두 완료될때까지 잠시만 기다려줍니다. 제 컴퓨터의 경우 모든 작업이 완료될때까지 대략 한 10~20초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다운로드 속도측정이 완료되면 곧바로 업로드 속도측정이 진행됩니다. 해당 작업까지 끝나면 최종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다운로드 속도는 대략 480Mbps정도가 나왔고, 업로드 속도도 대략 비슷한 수준이 나왔습니다. 다만 측정방식이나 측정서버 위치 등의 차이로 인하여 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속도 측정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핑속도 확인은 지연시간으로 보면 되는데요, 대략 3ms~4ms 정도가 나왔네요. 웹서핑을 할때에는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겠지만 온라인게임을 할때에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핑이 1000ms라면 게임에서의 반응속도가 1000ms 즉, 1초 뒤에 나타나게 됩니다. 보통 50ms 이하 수준이라면 크게 불편함이 없겠지만 100ms를 넘기게 되면 반응속도의 지연이 눈으로도 확인이 가능할 정도이기때문에 불편할 수 있어요. 그럼 오늘의 인터넷 핑테스트 방법에 대한 소개를 마치도록 하구요, 여러분들도 직접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